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자바연산자
- C#변수
- Codeup
- 프로그래머스파이썬
- 백준파이썬
- 알고리즘
- 리터럴
- 수학연산
- c#
- 개발입문
- 자바
- 백준
- 코드업
- 사용자입력
- 코드업자바
- 기초프로그래밍
- 코드업100제
- Java
- 제어구조
- Literal
- SWEA
- 코드업100제자바
- C#프로그래밍
- VARIABLE
- Algorithm
- SWEA파이썬
- 코딩테스트
- 자바클래스
- 변수
- 디자인패턴
Archives
- Today
- Total
제니노트
증감연산자,부호연산자 [자바] 본문
반응형
단항 연산자
증감 연산자 ++ --
증가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1
감소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다. -1
타입 | 설명 | 사용예 |
전위형 |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 j = ++i; |
후위형 | 값이 참조된 후에 증가시킨다. | j = i++; |
전위형은 값에 앞에 온다는 뜻이고 후위형은 값에 뒤에 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전위형은 기호가 변수 왼쪽, 후위형은 기호가 변수 왼쪽에 있다.
++i; i++; 처럼 증감연산자가 수식이나 메서드 호출에 포함되지 않고 독립적인 하나의 문장으로 쓰인 경우 전위형과 후위형의 차이가 없다.
전위형의 경우 증감연산자를 아래와 같이
j = ++i ; //전위형
은
위로 분리를 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i; //증가 후에
j =i ; //참조하여 대입
후위형의 경우 증감연산자를 식의 이후로 떼어내면 된다.
j = i++; //후위형
j=i; //참조하여 대입 후에
i++; //증가
public class Scanf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5, j=0;
j=i++; //후위형
//j=i;
//i++; 혼자 썼을 땐 차이가 없다
System.out.println("j=i++; 실행 후, i=" + i + ", j=" + j);
i=5;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i와 j의 값을 다시 5와 0으로 변경
j=0;
j= ++i; //전위형
//++i;
//j=i;
System.out.println("j=++i; 실행 후, i=" + i + ", j=" + j);
}
}
부호 연산자 + -
단항 연산자다. 피연산자를 1개 갖는다.
- 는 피연산자의 부호를 반대로 변경한 결과를 반환한다. 부호연산자 '+'는 하는 일이 없으며, 잘 안쓰인다.
i=-10;
i=-i;
하면 i=-(-10);
i=10이 된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d2uDDwz2fuc&list=PLW2UjW795-f6xWA2_MUhEVgPauhGl3xIp&index=25
반응형
'Java > Java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칙 연산자, 산술 변환 [자바] (0) | 2023.06.10 |
---|---|
형변환 연산자, 자동 형변환 [자바] (0) | 2023.06.09 |
연산자의 우선순위와 결합법칙 [자바] (0) | 2023.05.31 |
연산자 [자바] (0) | 2023.05.31 |
변수 중요 개념 [자바] (0) | 2023.05.3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