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 자바
- 리터럴
- Algorithm
- 변수
- SWEA파이썬
- 백준파이썬
- C#프로그래밍
- 제어구조
- 코드업자바
- 프로그래머스파이썬
- 코드업
- c#
- Literal
- 기초프로그래밍
- VARIABLE
- 사용자입력
- 자바연산자
- 개발입문
- 백준
- 디자인패턴
- 자바클래스
- 코드업100제
- 백준C#
- C#변수
- SWEA
- 코딩테스트
- 코드업100제자바
- 수학연산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Java (30)
제니노트
연산자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한다. +,-,*,/ 와 같은 것이 연산자이다. 연산자와 피연산자 연산자(operator)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등) 피연산자(operand) : 연산자의 작업 대상(변수,상수,리터럴,수식) x+3 이라는 경우에, x,3은 피연산자이고 +는 (덧셈)연산자이다. 대부분 연산자는 이처럼 두 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며,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값을 반환한다. 즉 (),괄호의 경우 연산자가 아닌 것이다 식과 대입연산자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조합하여 계산하고자하는 바를 표현한 것을 식(expression)이라고 한다. 식을 계산하여 결과를 얻는 것을 '식을 평가(evaluation)한다' 고 한다. 4*x+3; 이렇게 식만 쓰면 결과를..
1. 기본형(primitive type) 정리 크기 종류 1byte 2byte 4byte 8byt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2. long 변수형 20억이 넘어가면 long 변수로 지정해준다. 이 때 정수 뒤에 L을 붙여주는 것을 명심 3. 문자열,문자 덧셈 "1"+"2" - 문자열과 덧셈하면 그 결과는 항상 문자열 문자열 + any type - > 문자열 any type + 문자열 -> 문자열 'A'+'B' 'A'는 65 'B'는 66 문자와 문자 덧셈연산은 int형 정수값 int형보다 작은 type(byte,char,short)는 int형으로 변환 뒤에 덧셈연산 진행 char+char - > int+int '1'+2..
1. 문자와 숫자간의 변환 3 + '0' = '3' '3'-'0' = 3 2. 문자열로의 변환 3+"" = "3" //빈 문자열을 더해준다 '3'+""="3" 3.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3" -> Integer.parseInt("3") -> 3 "3.4" -> Dobule.parseDouble("3.4") -> 3.4 4. 문자열을 문자로 변환 "3" -> charAt(0) -> '3' "3".charAt(0) = '3' 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 import java.util.Scanner; //1.import문 추가 public class Scanf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3"; System.out.println(str..

오버플로우 : 해당 타입이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을 오버플로우(overflow)라고 한다. 10진수 -> 9999 +1 // 오버플로우 발생 2진수 - > 1111 +0001 // 오버플로우 발생 오버플로우는 자동자 주행표시기, 계수기와 비슷하다. 최댓값 9999 다음의 숫자는 0000이 될 것이다. 최솟값 0000에서 1을 감소하면 9999가 될 것이다. 이는 마치 계수기를 거꾸로 돌리는 것과 같다. 0000에서 정방향으로 돌리면 0001이 되지만, 역방향으로 돌리면 9999가 되는 것이다. 최대값 + 1 -> 최소값 최소값 -1 -> 최대값 최대값이 10진수로는 9999 2진수로는 1111일텐데 여기서 1을 더하면 0000이 된다는 것 최소값이 0000일 때 1을 빼면 10진수로 9..
Scanner 클래스를 이용해서 화면으로 부터 입력받는 방법을 배웠다. 클래스란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Scanner클래스의 사용법은 1. import java.util.*; //Scanner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추가 import는 어떤 곳에 속해있는지를 알려준다. 2. Scanner 클래스의 객체 생성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 // Scanner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 이 때 System.in은 화면에서 입력받는 다는 뜻이다. 3. 메서드 사용 String input = scanner.nextLine(); //한 행, 입력받은 내용을 input에 저장 int num = Integer.parseInt(input); //입력받은 내..

인스턴스란 클래스를 컴퓨터상에서 실체화 한 것이다. 클래스? 인스턴스? 모두 다 헷갈린다.. 붕어빵에 대해 비유를 해본다면, 붕어빵틀은 클래스(Class), 만들어진 각 붕어빵은 인스턴스(Instance) 인 것이다. 클래스는 붕어빵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을 모아두고 정의해논 것이다. 그리고 그것에 이름을 붙여논 것이다 일단, 밀가루 반죽양, 팥, 슈크림이 필요하다. 이것은 붕어빵 클래스의 변수들 즉, 필드이다. 그리고 재료들을 통해 굽다. 반죽을 넣다. 등의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붕어빵 시연 테스트를 하기 위해 붕어빵의 반죽양과, 팥, 슈크림 등의 양을 다 다르게 만든다고 가정하자. 이 붕어빵들은 같은 붕어빵틀로 찍어냈지만 안의 내용은 다 다르다. 이것이 인스턴스이다. 이걸 다시 프로그래밍..
자바 java.lang.Math 클래스 Math 클래스는 수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수와 함수들을 미리 정의해논 것이다. Math클래스는 static 메소드라서 객체 생성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다. Math클래스는 java.lang 패키지에 포함되어 제공된다. Math.PI 원주율 값으로 3.14159...를 의미한다. floor() 메소드, ceil() 메소드, round() 메소드 floor() 메소드는 바닥, 즉 내림 함수이다. 입력된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값을 double 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10.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는 10이다. 따라서 10.0으로 반환한다. ceil() 메소드는 천장, 즉 올림 함수이다 입력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값을 double 형으..

(1) 패키지 : 클래스들을 모아둔 것 패키지를 통해 라이브러리와 구별이 가능하다.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은 클래스명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서로 다른 용도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이름이 충돌하는 클래스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럴 때 패키지 기능을 이용하여 클래스 이름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2) 클래스 : 붕어빵 틀이다. 객체를 정의할 수 있는 틀 또는 설계도이다. 클래스는 객체의 변수들과(variables)와 객체 생성을 나타내는 메소드들(methods)로 나타낸다. (3) 변수 :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 (4) 메소드 :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묶은 것, 즉 클래스에 필요한 기능을 함수로 묶은 것 이 때, 클래스는 객체의 변수들로 이루어져있다고 되어있는데 이는 필드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