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개발입문
- 기초프로그래밍
- 백준파이썬
- 자바클래스
- SWEA
- 코딩테스트
- c#
- 변수
- 알고리즘
- SWEA파이썬
- 코드업100제자바
- 코드업자바
- 사용자입력
- 제어구조
- C#변수
- Literal
- 백준C#
- Algorithm
- C#프로그래밍
- 자바
- 코드업100제
- 리터럴
- Java
- 디자인패턴
- 수학연산
- 자바연산자
- 코드업
- 프로그래머스파이썬
- 백준
- VARIABLE
- Today
- Total
목록Java (30)
제니노트
리터럴의 접미사 종류 리터럴 접미사 논리형 false,true 없음 정수형 123 , 0b0101, 077, 0xFF, 100L L 실수형 3.14, 3.0e8 , 1.4f, 0x1.0p-1 f,d 문자형 'A' , '1', '\n' 없음 문자열 "ABC", "123", "A", "true" 없음 모든 값에는 타입이다. 따라서 모든 리터럴에는 타입이 있다. 구분하는 법은 간단하다. 3.14 처럼 . 소수점을 가지고 있으면 실수형 홑따옴표 '' 로 감싸져 있으면 문자형, 쌍따옴표 "" 로 감싸져 있으면 문자열이다. 정수형과 실수형의 경우 타입이 여러개이다. 그래서 그냥 구별이 안되어 접미사를 붙이다. 정수형 리터럴에 붙이는 접미사는 L 하나 뿐이다. 100L 처럼 L이 붙어있으면 long 타입이다. 안붙으..

변수,상수 변수 (variable)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상수 (constant) - 한 번만 값을 저장 가능한 변수 변수와 상수 모두 하나의 공간에 하나의 값을 저장하는 것은 같은데, 변수는 한번 값을 저장했다 하더라도 다른 값으로 몇번이고 바꿀 수 있지만 상수는 처음 값를 지정하고 나면 그 다음은 다른 값을 저장할 수 없다. 즉, 맨 처음에 저장한 값을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아래 예제를 보자. 먼저, int 타입의 score를 선언하고 100으로 초기화 해준다. 메모리는 오른쪽과 같이 저장된다. 다음은 200으로 score 변수의 값을 변경해보자. 다음은 상수 변수 MAX을 100으로 초기화해주고, 200으로 변경해보았다. 상수 MAX에는 이미 100이라는 값이 저장되어 ..

접근 제어자 (acess modifierr) 접근 제어자는 딱 4개가 있다. private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default)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protected 같은 패키지 내에서, 그리고 다른 패키지의 자손클래스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public 접근 제한이 전혀 없다. 하나의 대상에 위의 한개만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private 이면서 public일 수는 없는 것(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하지만 접근제한이 없는 모순이 되어버린다..) 접근제어자를 아무것도 안 붙힐 경우 default라고 한다. 그래서 표에 괄호를 쳐놨다 procteted의 경우 같은 패키지 내에서도 가능하고 이에 추가적으로 다른 패키지의 자손클래스에서도 접근이 가능한 것이다. 아..
함수(Function) 와 메서드(Method) 가 너무 헷갈려서 적는 포스팅! 우선 함수 는 여러 문장들이 하나의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 함수 중에서 클래스 내부에 정의한 함수를 메서드라고 한다. 또한 메소드는 객체의 속성을 다루기 위한 정의로도 쓰인다. 즉, 독립적으로 존재하면 함수 클래스 내에 있으면 메서드이다. 함수는 sum(),avg() 이렇게 단독으로 쓸 수 있는 반면, 메서드는 a.upper(),a.bigger()등으로 쓰인다. 함수가 메서드보다는 더 큰 개념이다. 그래서 메서드를 부를 때 함수라고 포괄적으로 말하는 경우도 있다. Method ⊂ Function

1. 자바 인코딩 인코딩 환경과 디코딩 환경이 다를 때 웹사이트에서도 한글이 깨지거나, 터미널에서 한글이 깨지는 그런 상황을 종종 경험해 봤을 것이다. 인코딩이란? 사람의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게 변환하는 과정 캐릭터셋 캐릭터 셋 이름 설명 US-ASCII 7비트 아스키 ISO-8859-1 ISO 라틴 알파벳 UTF-8 8비트 UCS 변환 포맷. 글자의 길이가 가변적인 인코딩 방식, 1byte는 아스키코드 3byte는 한글, 웹서버, db, Linux,Mac 시스템의 기본 인코딩 방식 UTF-16BE 16비트 UCS 변환 포맷. big-endian 바이트 순서를 가진다. UTF-16LE 16비트 UCS 변환 포맷. little-endian 바이트 순서를 가진다. UTF-16 16비트 UCS 변환 포..
상속 상속(extends)은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 등을 상속받아 사용하며 자식 클래스에서 추가 및 확장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재사용성, 중복성의 최소화가 이루어진다. 구현 구현(implements)는 부모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하여 구현하는 것을 말하며, 상속과는 달리 반드시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재정의하여 구현해야 한다. 상속과 구현의 차이 상속은 일반 클래스, abstract 클래스를 기반으로 구현하며, 구현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구현한다.